비에 관한 순 우리말
안개비 - 안개처럼 눈에 보이지 않게 내리는 비.
는개비 - 안개보다 조금 굵은 비.
이슬비 - 는개보다 조금 굵게 내리는 비.
보슬비 - 알갱이가 보슬보슬 끊어지며 내리는 비.
부슬비 - 보슬비보다 조금 굵게 내리는 비.
가루비 - 가루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잔 비 - 가늘고 잘게 내리는 비.
실 비 - 실처럼 가늘게, 길게 금을 그으며 내리는 비.
가랑비 - 보슬비와 이슬비.
싸락비 - 싸래기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날 비 - 놋날(돗자리를 칠 때 날실로 쓰는 노끈)처럼 가늘게 비끼며 내리는 비.
발 비 - 빗발이 보이도록 굵게 내리는 비.
작달비 - 굵고 세차게 퍼붓는 비.
장대비 - 장대처럼 굵은 빗줄기로 세차게 쏟아지는 비.
주룩비 - 주룩주룩 장대처럼 쏟아지는 비.
달구비 - 달구(땅을 다지는 데 쓰이는 쇳덩이나 둥근 나무토막)로 짖누르듯 거세게 내리는 비.
채찍비 - 굵고 세차게 내리치는 비.
여우비 - 맑은 날에 잠깐 뿌리는 비.
지나가는 비 - 소나기.
소나기 - 갑자기 세차게 내리다가 곧 그치는 비.
먼지잼 - 먼지나 잠재울 정도로 아주 조금 내리는 비.
개부심 - 장마로 홍수가 진 후에 한동안 멎었다가 다시 내려,진흙을 씻어 내는 비.
바람비 - 바람이 불면서 내리는 비.
도둑비 - 예기치 않게 밤에 몰래 살짝 내린 비.
누리비 - 우박. 궂은비 - 오래 오래 오는 비.
보름치 - 음력 보름 무렵에 내리는 비나 눈.
그믐치 - 음력 그믐께에 내리는 비나 눈.
찬 비 - 차가운 비. 밤 비 - 밤에 내리는 비.
악 수 - 물을 퍼붓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억 수 - 물을 퍼붓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웃 비 - 비가 다 그치지는 않고, 한창 내리다가 잠시 그친 비.
해 비 - 한쪽에서 해가 비치면서 내리는 비.
꿀 비 - 농사짓기에 적합하게 내리는 비.
단 비 - 꼭 필요할 때에 알맞게 내리는 비.
목 비 - 모낼 무렵에 한목 오는 비.
못 비 - 모를 다 낼만큼 흡족하게 오는 비.
약 비 - 요긴한 때에 내리는 비.
복 비 - 복된 비.
바람비 - 바람이 불면서 내리는 비.
모다깃 비 - 뭇매를 치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우레비 - 우레가 치면서 내리는 비.
이른비 - 철 이르게 내리는 비.
늦은비 - 철 늦게 내리는 비.
마른비 - 땅에 닿기도 전에 증발되어 버리는 비. 봄 비 - 봄에 내리는 비.
여름비 - 여름에 내리는 비.
가을비 - 가을에 내리는 비.
겨울비 - 겨울에 내리는 비.
큰 비 - 홍수를 일으킬 만큼 많이 내리는 비.
오란비 - 장마의 옛말
건들장마 - 초가을에 비가 내리다가 개고, 또 내리다가 개곤 하는 장마.
비 꽃 - 비 한 방울 한 방울. 비가 시작될 때 몇 방울 떨어지는 비.
일 비 - 봄비. 봄에는 할 일이 많기 때문에 비가와도 일을 한다는 뜻으로 쓰는 말.
잠 비 - 여름비, 여름에는 바쁜 일이 없어 비가 오면 낮잠을 자기 좋다는 뜻으로 쓰는 말.
떡 비 - 가을비. 가을걷이가 끝나 떡을 해 먹으면서 여유 있게 쉴 수 있다는 뜻으로 쓰는말.
술 비 - 겨울비. 농한기라 술을 마시면서 놀기 좋다는 뜻으로 쓰는 말.
여기서 제일 중요한 칠월의비....
칠월의비ㅡ음력 7월 7일은 1년동안 서로 떨어져 있던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로 칠석(七夕)이라 함.
칠석날 전에 견우와 직녀가 서로 타고갈 수레씻는 물이 비가 되어 내린다고 해서
이비를 "수레 씻는 비" 즉 '세차우(洗車雨)'라고 한다.
또 칠석날 저녁에 비가 오면 견우와 직녀가 상봉하여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라고 하며, 이튿날
새벽에 비가 내리면 헤어짐의 슬픔 때문에 흘리는 눈물이라고 해서 "쇄루우(灑漏雨)"라고도 합니다.
먼 옛날 하늘의 옥황상제에게는 직녀라는 어여쁜 딸이 하나 있었다. 직녀는 옷감짜는 여신으로 온종일 베틀에 앉아 옷감을 짜곤 했는데 옷감이 얼마나 아름다웠던지 하늘을 도는 별들도 그녀의 일을 지켜보기 위해 멈추곤 하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직녀는 옷감 짜는일에 자주 싫증을 내게 되었다. 어느 봄날 직녀는 강둑을 따라 양과 소떼를 몰고 가는 한 목동을 보게 되었는데, 이 젊은이가 바로 견우이다. 둘은 한 눈에 서로에게 반했다. 직녀는 옥황상제에게 이야기해서 견우와 결혼시켜 달라고 부탁했다. 옥황상제는 견우란 젊은 목동이 영리하고 친절하며 하늘의 소를 잘 돌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으므로 딸의 선택에 반대하지 않고 둘을 혼인시켜 주었다.
그러나 혼인한 이들은 너무 행복한 나머지 자신들이 해야할 일을 잊고 게을러지고 말았다. 화가 난 옥황상제는 몇 번이나 주의를 주었으나 둘은 행복에 취한 나머지 다시 게을러지곤 하였다. 마침내 옥황상제는 분노하여 이들을 영원히 떼어놓을 결심을 하게 되었다. 결국 견우는 은하수 건너편으로 쫓겨났고, 직녀는 성에 남아 쓸쓸히 베틀을 돌려야 했다. 이 때 옥황상제는 일년에 단 한번, 일곱번째 달의 일곱번째 날의 밤에만 이들이 강을 건너 만날 수 있게 허락하였다. 그런데 은하수가 그들을 가로막아 만날 수 없게 되자, 까마귀와 까치들이 머리를 맞대어 다리를 놓아주었다. 그 다리를 까마귀와 까치가 이었다 해서 '오작교'(烏鵲橋)라 하며 이날 오는 비, 곧 칠석우(七夕雨)는 견우와 직녀가 기뻐서 흘리는 눈물이라 한다....
칠월의비ㅡ (기쁨의눈물)...
7월 첫날 휴일 비가옵니다.
즐건 하루 되세요.......
언제부턴가 비가 옵니다..
비는 어느 틈에 당신을 닮았습니다..
소리없이 온통 젖게 합니다..
마치 당신이 내가슴에 그러했듯이..
길바닥에 떨어지는 빗방울이 가여워..
자꾸만 손을 내밀어 잡아봅니다..
잡지 못한 비는 준비한 노래를 부르는듯..
땅이 울리도록 퍼져갑니다..
무엇으로 나 저렇게 용감한 적 있었는지..
언제한번 나 저렇게 솔직한 적 있었던지..
비를 타고 바쁜 걸음들이 미끄러져 갑니다..
돌아갈 품이 있는 사람은 얼마나 행복할까요..
피할 곳도 기댈 곳도 없는 마음은..
서성대다가 자꾸만 비에 젖습니다..
가슴속으로 비가 옵니다..
내내 그치지 않는 비만 비만 옵니다..